오늘 공부해볼 주제는 주식의 가격입니다.
주식 거래를 할 때 한번쯤은 들어본 개념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시가, 고가, 저자, 종가, 상한가, 하한가
종목은 하나인데 주식 가격은 위와 같이 여러 가지입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아홉시 땡! 하고 정규 시장이 열리자마자의 가격이 시가 입니다.
시가는 시작가의 줄임말입니다.
정규 시장 동안 주가가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움직이는데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이 고가, 가장 낮게 거래된 가격이 저가 입니다.
종가는 마감가입니다. 오후 3시 30분 정규시장이 끝난 뒤의 주가입니다.
하지만, 고가와 저가에는 한계선이 있습니다.
고가는 전일 종가보다 30%이상 오르지 못합니다. 30% 올랐다면 그 가격을 상한가 라고 합니다.
하한가는 전일 종가보다 30% 아래로 하락한 것을 말합니다. 그 이하로 떨어질 수 없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전일 종가가 1만원이라면 그 다음날 주가는 7천원에서 1만 3천원 사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가격 변동폭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럼 왜 오늘의 시작가가 어제의 종가와 다를까요?
어제 장이 1주당 1만원에 마감되었다면, 그 다음날 시초가도 1만원이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가가 회사의 가치가 얼마인지 보여주는 잣대인 데 반해,
전일 종가는 회사의 가치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오후 3시 30분 이후 그 다음날 장이 시작할 때까지 17시간 30분 동안 회사에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거래가 끊겼다가 다시 시작되는 시초가는 전일 종가와 달라져야 합니다.
그렇다면, 시가와 종가는 어떻게 설정되는 것일까요?
시가, 종가는 일정 시간 동안 접수받은 매매 주문을 같은 시각에 하나의 가격으로 집중 체결하는 '단일가 매매 방식'을 적용합니다.
오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투자자들에게 매수, 매도 주문을 받은 것은 9시에 시가 가 되고,
오후 3시 20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받은 매매 주문은 그날의 종가 가 됩니다.
이 시간 동안에는 주문만 받았다가 단일가가 산출되면 각각 오전 9시, 오후 3시 30분에 한거번에 거래가 체결됩니다.
단일가 매매를 잘 활용하면 기대치보다 주식을 더 저렴하게, 또는 더 비싸게 팔 수도 있습니다.
더 열심히 공부해서 주식으로 부자 되는 날가지 화이팅입니다.
'9. other 지식 모음 >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기술 추천 받음 (0) | 2023.01.0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