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앱 서비스를 만들어서 돈을 벌 수 있는 대표적인 8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그냥 취미나 내가 쓰려고 앱을 만드는 경우도 있겠지만 이걸로 수익화까지 한다면 좀 더 뿌듯하고 의미있지 않을까요?
앱을 만들어서 돈을 버는 방법은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단순히 유료앱이나 광고 넣는 것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웹이나 앱으로 사실상 모든 비지니스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돈을 벌 수 있는 방법도 정말 다양합니다.
하나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첫번째로 유료앱입니다. 가장 직관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인데요. 보통 7:3의 배율로 앱 마켓과 나누어 갖습니다.
1,000 앱 하나가 팔리면 나는 700원을 갖고 마켓에 300원을 수수료로 내는 것이죠. 이런 방법의 단점으로는 아무래도 유료앱은 다운 받기가 조금 꺼려지니 정말 재밌거나 유용한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주로 카메라 앱이나 유료 게임이 많이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광고가 있습니다. 가장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인데요. 광고를 다루는 방법은 구글 애드센스, 애드몹, 카카오 애드핏 등 거기서 제공하는 광고를 받아서 쓰는 방법이 있고 직접 내 앱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만들고 특정 업체와 계약해서 광고를 진행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광고로 수익을 내는 방법은 광고 노출당 혹은 클릭당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CPM = Cost Per Miie
1,000번 노출 당 비용
CPC = Cost Per Click
클릭 당 비용
세번째 방법은 유료 결제를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앱은 무료로 서비스하더라도 결제 시스템을 통해 아이템이나 유료 포인트 혹은 실물 제품을 판매하거나 대여해주는 방식입니다.
주로 게임에서 아이템을 판매하거나 웹툰이나 소설에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거나 혹은 개인 쇼핑몰처럼 실물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겠죠.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인앱 결제를 붙이면 이것도 마찬가지로 7:3의 비율로 마켓과 나누어 갖고 다른 결제 모듈을 붙인다면 계약 PG업체에 따라 결제 금액의 약 3% 내외의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네번째로는 구독 방식이 있습니다.
넷플릭스와 같은 OTT 서비스, 음악 스트리밍, 오디오북 등 컨텐츠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료를 정기적으로 받는 방식입니다.
구독방식은 요새 굉장히 핫한 방식인데요. 기업 입장에서 관리할 지표도 단순하고 지속적으로 꾸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서 요즘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다섯번째로 수수료 방식입니다.
서비스를 중계하는 플랫폼을 만들어서 중간에서 수수료를 받아가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G마켓 등 대다수의 (입정형)쇼핑몰에서 판매자와 구매자를 이어주면서 중간에 수수료를 가져가죠. 또, 배달의 민족, 요기요와 같은 배달앱에서도 가게 점주와 구매자들을 이어주면서 수수료를 받아갑니다.
여섯번째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입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개인정보나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비지니스에 활용하거나 판매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의 경우 유저의 회원정보, 좋아요, 팔로우 등 관심사 정보를 수집하여 이런 데이터를 바탕으로 광고주에 적합하게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판매하는 경우 조심해야하는 점도 굉장히 많은데요 한 사례로 5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나쁜기억지우개'라는 고민을 털어놓은 앱이 있었는데
이 앱에서는 이용자들이 작성한 개인적이고 민감한 고민 정보들을 월 5백만원에 데이터를 팔려고 했다가 논란이 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데이터를 활용할때는 이용자의 동의가 충분히 있어야겠죠.
일곱번째 방법으로는 크라우드 소싱 방법이 있습니다.
대중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리캡차 서비스의 경우 자동 가입 방지를 위한 문자 입력 서비스인데요. 사용자들이 자동 가입 방지 문자를 입력하면서 동시에 컴퓨터가 읽기 힘든 오래된 책에 있는 글자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업무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렇게해서 하루 평균 2000만 단어를 수정했다고 하는데 상당한 수익이 있었겠죠. 또 최근에는 구글이 리캡차를 활용하여 자동차가 있는 타일을 선택해 주세요.
이런게 나와서 자율주행 차량과 같은 것들에 인공지능의 인식 능력을 강화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중들이 무심코한 행동을 수익화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또는 번역앱 플리토처럼 유저에게 보상을 주고 번역 서비스를 대중에게 맡기는 수익 모델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여덟번째로 서비스를 매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애초에 누군가 만들어 달라는 앱을 만들어서 앱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자신의 아이디어로 만든 앱을 키워서 매각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2019년에 배달의 민족이 딜리버리히어로에 지분 매각을 했다는 소식이 었었죠.
이렇게 한 서비스를 만들고 키워서 매각하여 수익화 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앱이나 웹을 만들어서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떤 서비스를 만들 때 이중에 하나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를 섞어서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유튜브의 경우 유튜브 프리미엄으로 구독 수익도 창출하고 이용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광고도 제공하고 영상 콘텐츠는 자기들이 만드는 것이 아니니까 크라우드 소싱이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게다가 창업자는 약 1조 9천억원에 유튜브를 구글에 매객해서 수익을 창출하기도 했습니다. 이런식으로 다양한 수익 모델을 융합하여 자신이 만들고 싶은 서비스를 만든다면 좀 더 재미있게 만들 수 있겠죠?
앞으로 직접 앱을 만들면서 적용하고 수익화까지 해보는 것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eference
https://www.youtube.com/watch?v=IMjEZ1GVMfE
'9. other 지식 모음 > >>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검 1위, 앱스토어 7위를 만든 마케팅 방법 (0) | 2022.12.21 |
---|
댓글